본 콘텐츠는 나의 친구 LEE정수에게 전수받은 소중한 노하우임.
글을 시작하기 전에, 이런 귀중한 지식을 나누어 준 것에 대해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함!
1. 핵심 키워드를 영어로 구글에서 검색하기
키워드 뒤에 띄어쓰기 후
arxiv
를 추가하여 검색하기
(예) “ai voice dubbing” arxiv
2. 검색 결과 첫 페이지의 논문을 우선순위에 따라 취합하기
각 논문 파일명은 내가 이해하기 쉬운 핵심 키워드로 설정
파일명 앞에[ ]
를 붙여 세부적으로 분류하기우선순위 기준
- – 최신 논문인지 여부
- – 유명한 대학 또는 기업에서 발표한 논문인지
- – 좋은 학회에서 accept된 논문인지
- – Citation(인용)이 많이 된 논문인지
3. Google Notebook LM (이하 “LM”)을 켜고 폴더명을 설정하기
– 폴더명은 논문의 목적 또는 내용을 잘 나타내는 카테고리명으로 설정
4. 선택한 논문 파일 업로드하기
5. LM에게 “해당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가 뭐야?”라고 질문하기
6. LM 답변을 읽은 후, 논문의 원본을 열어서 Abstract와 Key Figure를 확인하기
- – 주로 논문의 1~2 페이지 내에 있음
7. 이해가 부족한 부분은 LM에 추가 질문을 던져가며 내용 파악하기
8. 더욱 깊은 호기심이 생기거나, LM의 설명만으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원본 논문을 직접 읽어보기
9. LM에게 반드시 “verification(검증)은 어떻게 했는지” 질문하기
10. 논문에 대한 호기심과 이해가 어느 정도 충족되었으면:
– 논문 맨 뒤의 Conclusion과 Limitation 꼭 읽기
– 본문 중간에서 내 관심 주제와 관련하여 언급된 참고문헌은 따로 저장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진행
11. 위 과정을 반복하여 폴더 내 논문이 쌓이면, 점차 더욱 포괄적이거나 구체적인 맥락에서 질문하고 분석 가능